본문 바로가기

책 소개

[자기 혁명], 행복이란 (네엣)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 혁명], 리더스북, 2011.10.

 

 

                               행복이란 (네엣)

 

  지금까지 개인적인 나의 행복에 대해 정의해 보았다.  언젠가 욕망의 철학에 대해 관심이 생겨 사설 학원에서 몇시간을 들은 적이 있다.  다른 것은 기억 안나는데 라캉의 욕망이론에 대해 강사가 얘기하던 것은 선명하게 떠오른다. 

 

  행복=가진 것/욕망

 

  행복하려면 가진것을 늘리든지, 갖고자 하는 욕망을 줄이든지 해야한다는 강의였다.  그 지론에 따라 행복하기 위해 급여는 한정되어 있으니 욕망을 줄이기로 했다.  더 잘 먹고 싶고, 더 잘 입고 싶고, 더 많이 배우고 싶고, 더 많이 여행하고 싶고,,, 내게 있어 입고자 하는 욕망은 별로 없으니 그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다만 문제는 먹고 싶고, 여행하고 싶은 욕망을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욕망을 줄이는 것도 한계가 있어 그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래도 그럭저럭 형편에 따라 개인적으로 행복해지려 노력을 했다.  그런데 아무리 마음을 긍정적으로 가지고 행복하려 했으나 자꾸 걸림돌이 생기는 현실에 좌절되는 즈음이었다.  그때 이 책을 만났다.

 

  왜 욕망은 줄이려 하나 그것이 어려운가?  그것은 사회가 상대적 욕망을 자꾸 부추기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책은 행복이 단지 개인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부분을 지적한다.  *다른 아이가 행복해야 내 아이가 행복하다*는 명제 탓이다.  그러나 머리가 아파온다.  가끔 나는 봉사, 선행을 하는 사람이 순수하게 보이지 않는데 그것에 대한 대안도 이 책은 제시하고 있다.  가정의 수입은 한정되어 있고 우리 가족이 살아가기도 빠듯한데 어떻게 타인의 행복에까지 눈을 돌릴 것인가?  그것은 어떤 위선이 아닌가?  그런 생각들.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의 이윤추구는 당연한데 그것을 제약하는 것이 과연 옳은 방법인가?  아, 어차피 경쟁시대에서 내아이의 행복만을 바라는 것이 어째서 잘못된 것인가?  이런 의문들을 책은 명쾌히 정리해준다.  한마디로 통찰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과연 *다른 아이의 행복까지 바랄 여력이 내게 있는가?  책은 '있다.' 무게를 두고, 대안까지 제시한다.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 그게 머리끝까지 차올랐다.  어려서 이미 우리집에서는 사회주의가 실행되고 있었다.  언제나 공평했고, 한 사람의 수입은 공유되었다.  그러므로 아르바이트를 해도 힘만 들지 재미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같은 알바생인 다른 사람들은 같이 힘든 일을 하는데도 얼굴에 웃음이 가득하고 행복해보이는 것이다.  나는 같은 일을 하는데 왜 이렇게 힘들지, 이런 의문에 빠지고 오래 그일을 지속하지 못하고 그만두었는데 나중에 이유를 알았다.  다른 사람은 돈을 벌어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기에 행복한 것이다.  그런데 나는 돈을 벌어보았댔자 어차피 집에 갔다 주고 (자발적으로) 나를 위해 쓸 것은 없는 것이다.  그런데 무슨 재미로 계속 돈을 벌겠는가 말이다. 

 

  그리하여 대학때 사회주의 세미나를 하면 계속 발렌타이데이때 초코렛을 주거나 미스코리아 선발대회를 비판하면(사실 이 사안들은 아주 사소한 것이나) 왜 안되지?  그런 의문이 드는 것이다.  왜 사랑하는 사람에게 고백하는 것이 죄가 되고, 재미있는데 왜 보면 안되나?  이런 의문들이 자꾸 들고, 그당시 분위기는 연애를 죄악시하는 그런 분위기였는데 그런 생각을 주입시키는 선배들은 숨어서 뒤꽁무니로  연애를 하곤 하니 그들은 위선자가 아닌가?  이런 의문들이 내생각에서 사라지지 않는 것이다.  지금은 왜 그런지 조금 이해하게 되었지만 말이다. 

 

  그래도 그런 의문은 나의 뇌리를 계속 지배하면서 왜 사회를 변화시키겠다는 세력들이 오히려 사회에 해가 되는 표현을 쓰고 실제로는 자기 밥그릇에 집착하는 행동들을 하는가?  그것들이 왜 휴머니즘과는 또 공존하기 어려운가?  이런 의문들이 머리를 사로잡는다.  어차피 사회주의가 아니라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왜 내가 최선의 노력을 하고 그 댓가를 더 많게 하는 것에 죄의식을 느껴야 하나?  그런 의문들이 나의 뇌리를 사로잡는데 책에서 작가는 공멸이 아닌 공존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한마디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융합을 통해 (이러면 거부감을 가지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지만) 보다 나은 사회로 변화를 이끌어 가자는 것이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나의 사고는 절대 *다른 아이의 행복까지 바랄 여력은 없겠다.  였다면, 다른 아이와 나의 아이가 동시에 행복해지는 방법도 어쩌면 있을 수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든 것이다.  그것은 타인에게 질투가 아닌 선망을 지니면 나의 발전이 더욱 커진다. 라는 해법으로 함께 잘 살아 보자는 생각과 올바른 변화의 방향에 동참하면 되는 것이다.

 

  어쩌면 이 책은 이상향일 수 있다.  그리고 이대로의 변화가 어려운 이유는 사회의 공멸의 작은 조짐들을 권력을 갖고 있는 층이 제일 나중에 느끼기 때문이라는 한계점을 지녔다고 본다.  그러나 이 책은 약간 어렵지만 분명 이 시대에 읽어볼만한 책이다.  자기 발전을 위해서도 읽어볼만하다.  특히, 3장을 추천한다!    

 

  지금은 동정심(sympathy)이 아닌 공감력(empathy)이 필요한 시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