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이 김선달> 오랜만에 신나게 웃어본 영화!
얼마만에 신나게 웃어본 것인지, 오랜 가뭄에 만난 소낙비처럼 시원한 청량함을 느끼게 하는 영화.
2005년 막동이 시나리오 공모전 당선 작가가 감독을 한 영화다. 10년이 지나서야 감독에 입봉을 하다,,, 각본과 감독을 한 사람이 했다. 그래서인지 줄거리며 에피소드가 탄탄하다. 개봉관이 거의 없어, 뒤지고 뒤져서 봐야 한다. 그만큼 애쓸 가치가 있는 영화다. 한번 신나게 웃어 보고 싶다면.
처음에는 이 영화가 별로 보고 싶지 않았다. 그 이유는 제목에 있다. 제목에서 느껴지는 고리타분한 인상 때문이다. 김선달이라는 한 늙다리 아저씨가 기껏해야 대동강물 판 얘기 하나 단순한 구조로 나오겠군, 하는 선입견 때문이었다. 그러니 이 영화의 제목을 내가 다시 짓는다면, <청년 김선달>이라고 짓겠다. 김선달을 연기하는 유승호는 상당히 젊고 이 영화에는 단지 대동강물을 파는 내용만 나오는 것이 아니다. 더 재밌는 에피소드들은 대동강물 팔기 이전에 다양한 내용으로 나오며 관객을 즐겁게 해준다.
그러니, 뭔가 김선달 이라는 아저씨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는 제목이라면, 1차 홍보에 성공했을 것이다. 일단 제목에서 관객의 호기심이나 관심을 끌어야 영화를 보게 된다.
영화는 유승호, 고창석, 라미란이라는 세 사기꾼 집단의 유쾌한 사기치기가 중심이 된다. 그곳에 조재현이라는 나쁜 대감과 서예지라는 아씨와 시우민이라는 어린 공자 얘기가 줄기를 뻗고 있다. 내용이 유쾌한데 비해, 촬영컷이 약간씩 어설프다. 그러므로 평론가들은 평점을 낮게 주게 되는 것이다. 나는 요즘 평론가들이 지나치게 영화적 표현의 기술에만 의존하여 비평을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영화를 비평할 때 영화적 문법을 보고 그에 맞춰 비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은 표현의 문제이며, 더 중요한 것은 이야기라는 내용이라고 난 생각한다. 그래서 영화적 기법이라는 기술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웃음 가운데 현실 비판 시선을 담고 있는 이 영화를 나는 높이 평가하고 싶다. 물론 그런 주제를 다 떠나서 유쾌함이라는 선물을 안겨 주는 최근 들어 고마운 한국 영화다.
★★★☆
-----------------------------------------------------------------
봉이김선달설화
작자
|
미상 |
---|---|
성격
|
설화 |
유형
|
작품 |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요약 조선 후기의 풍자적인 인물인 봉이 김선달에 관한 설화.
[내용]
인물전설이며, 개성 이북의 서도 지방에 널리 분포하여 있던 건달이야기는 현재는 여러 야담집을 통하여 전국적으로 알려져 있다.
문헌 정착은 1906년 『황성신문』에 연재된 한문현토소설(漢文懸吐小說)인 「신단공안(神斷公案)」의 네 번째 이야기 ‘인홍변서봉 낭사승명관(仁鴻變瑞鳳浪士勝名官)’이 최초의 예이다. 이를 통해 그 이전인 19세기에 이 이야기가 널리 유포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대체적인 내용은 평양 출신의 재사(才士) 김선달이 자신의 경륜을 펼치기 위하여 서울에 왔다가 서북인 차별 정책과 낮은 문벌 때문에 뜻을 얻지 못하여 탄식하던 중 세상을 휘젓고 다니며 권세 있는 양반, 부유한 상인, 위선적인 종교인들을 기지로 골탕을 먹이는 여러 일화들로 이루어져 있다.
구전설화는 방학중·정만서(鄭萬瑞)·정수동(鄭壽童) 등의 인물전설과 중복되는 일화가 상당수 있어 이들과 비슷한 성격의 인물로 보고 있는데 비하여, 여러 일화를 꿰어 하나의 전(傳)으로 꾸민 한문현토본소설은 다소 성격이 다르다.
구전설화에서는 본명이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소설에서는 김인홍(金仁鴻)이라는 본명과 낭사(浪士)라는 자호를 소개하며, 그의 건달 행각의 배경을 당대의 정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풍자에서 비롯된 것임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의 비범성을 부각하고 있다. 김선달이 봉이라는 별호를 얻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내력이 있다.
김선달이 하루는 장 구경을 하러 갔다가 닭을 파는 가게 옆을 지나가게 되었다. 마침 닭장 안에는 유달리 크고 모양이 좋은 닭 한 마리가 있어서 주인을 불러 그 닭이 ‘봉(鳳)’이 아니냐고 물었다.
김선달이 짐짓 모자라는 체하고 계속 묻자 처음에는 아니라고 부정하던 닭 장수가 봉이라고 대답하였다. 비싼 값을 주고 그 닭을 산 김선달은 원님에게로 달려가 그것을 봉이라고 바치자, 화가 난 원님이 김선달의 볼기를 쳤다.
김선달이 원님에게 자기는 닭 장수에게 속았을 뿐이라고 하자, 닭 장수를 대령시키라는 호령이 떨어졌다. 그 결과 김선달은 닭 장수에게 닭 값과 볼기 맞은 값으로 많은 배상을 받았다. 닭 장수에게 닭을 ‘봉’이라 속여 이득을 보았다 하여 그 뒤 봉이 김선달이라 불리게 되었다.
「봉이김선달설화」는 조선 후기의 역사적 상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인물전설이다. 봉이 김선달은 방학중·정만서 등 비슷한 행적을 가진 동시대의 풍자적 인물들의 설화와 함께 변모하는 사회 현상을 반영하는 새로운 인간형으로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신단공안(神斷公案)』
-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6)
- 『봉이 김선달·하원 정수동』(김용철, 명문당, 1985)
- 『해학소설대전집』2(김용철, 노벨문화사, 1970)
- 『봉이 김선달』(박흥민, 삼중당, 1966)
- 「봉이형 건달의 문학사적 의의」(최원식, 『우전신호열선생고희기념논총』, 창작과 비평사, 1983)
- 「近代朝鮮奇人怪人傑」(翠雲生, 『第一線』2-7, 1932.8.)
- 「관서명물 김봉이」(김진구, 『별건곤』4-7, 1929.12.)
- 「인홍변서봉랑사승명관」(『황성신문』, 1906. 6.28.∼8.18.)
제공처
'영화 느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동, 간호학과 절대! 가지 마라. 1 (0) | 2019.12.31 |
---|---|
백두산, 헐리우드 영화 뺨을 때리다. (0) | 2019.12.29 |
<굿바이 싱글> 괜히 사소한 일상에 눈물이 나는. (0) | 2016.07.03 |
<계춘 할망>, 선택권이 없는 영화 배급에 단물 같은 영화! (0) | 2016.05.30 |
<시간 이탈자> 여전히 감각이 살아 있는 곽재용 감독 (0) | 2016.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