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소개

서른살엔 미처 몰랐던 것들... 마흔이란 나이가 되기전엔 나도 몰랐던 것들.

 

 

 <서른살엔 미처 몰랐던 것들>    김선경 지음.    걷는나무 출판사 



  젊어서는 40대의 삶은 정체되어 보였었다. 그런데 직접 겪어보는 40대는 더이상 갈등할 것이 없어 좋다. 어쩌면 청춘이 힘든 이유는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비록 현재의 20대 실업율이 높다 해도 말이다. 40대가 되면 정말 어떤 다른직업을 가져볼까? 하는 기대를 포기하게 된다. 왜냐하면 현실적으로 받아주는데가 없기 때문이다. 그것이 슬프다면 슬프지만 더이상 선택을 놓고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어떤 편안함이 있다. 다만 그 편안함 속에 안주하지 않는 적어도 즐길 거리 정도는 가지고 있는 40대라면 현재의 40대라는 삶이 마냥 싫지만은 않을 것이다.

  이 책을 읽는동안 폭발해버릴 것 같은 현실적 삶의 고난을 겪었다. 가끔 너무나 한심한 나의 모습을 보면서 '안 그래도 될껄 왜 난 계속 이런거지?"라는 갈등을 느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못난 자신을 반성하면서 마음의 평정을 찾았다고 할 수 있다. 독서, 를 왜 마음의 양식이라고 하는지... 언제나 한심해지는 마음을 평온하게 유지하고 어떤 해답이나 평정을 찾는데 책이 도움이 되었음을, 학생때는 왜 독서를 할까? 이런 생각을 많이 했는데 이제 독서가 왜 필요한지를 분명히 체험하는 경우가 많다.

  두갈래 길에 대한 이야기나, 자신이 좋아하지 않는 일이면 과감히 사표를 던지고 좋아하는 일을 찾아라... 등의 얘기를 들으면서 그런 선택이 반드시 옳다고만 볼 수 없는 현실적 경험을 갖게 되는데 왜인지는 딱히 모르겠군... 했었다. 매일의 지루한 일상을 매일매일 반복하면서 사는 것도 꽤 힘든 일이며, 매일 사표를 품고 다니더라도, 아주 좋아하는 일은 아니더라도 한 직업을 오래하는 것도 상당히 가치있는 일이란걸... 40대가 되기전엔 잘 몰랐다. 사람들은 현실적인 가치추구에 대해 지나치게 폄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 책은 그런 현실적인 평범한 가치에 대한 깨달음 같은 것이다. 같은 깨달음을 갖더라도 잊고살게 되는데 그런것들에 대해 다시 한번 일깨운다. 어쩌면 이 작가가 나와 매치되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어서인지 그건 모르겠다. 좌우간 난 잼있게 읽었다. 읽어볼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