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완벽주의

6. 나 이런 사람이야 : 선택엔 늘 책임이 따른다 2 : 24. 성교육 요즘 제 고민에 대해 다들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왜 저란 인간은 이렇게 되었을까요?? 아마도 완벽주의에 의한 것인 거 같습니다. 전 결혼 하기도 싫고, 아이 낳기도 싫었어요. 우리 부모님을 보니,,, 절대 결혼하면 안 될 거 같았거든요, 게다가 아이를 낳아서 저처럼 고생하며 살게 하고 싶지도 않았지요. 그렇다면, 아무리 콘돔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임신 가능성이 있는 나이엔, 남자랑 자면 안 될 거 같더라구요. 이게 바로 완벽주의적 성향이었던 거지요. 전 '우두머리가 되지 못 할 바에야, 차라리 꼬리가 되어라.'라는 부친의 가르침을 받고 자란 사람입니다. 그러니, 최고가 되지 못 할 바에야, 차라리 꼴등을 해버리자,,, 이런 생각이었기에 늘 불안감을 안고 살았습니다. 자식 교육에서 완벽주의적 가르침은 늘.. 더보기
욕심은 불안을 부른다. 심한 불안증에 시달리다가 왜 나는 불안한가? 하고 생각해봤다. 그건 글을 써서 돈을 벌어야겠다는 욕심이 내 안에 자리잡았기 때문이었다. 원래 글을 써서 돈을 벌기란 쉽지 않다. 이유는 첫째, 글이란 돈벌기 위해 쓰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 글을 쓰려면, 다양한 독서는 기본이다. 다른 글을 읽는 것이 기본 재료가 되어 글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나란 인간은 독서와는 담 쌓고 산다. 도서관에 가야 책을 읽는 습관은 오래 되었건만, 이 코로나 시대에 도서관에 갈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건 핑계에 불가하다. 나란 인간이 원래 독서를 즐기는 사람이었다면, 어떤 방법으로든 나는 책을 읽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욕심을 버렸더니, 불안감이 사라졌다. 어쩌면 불안이란, 실력은 부족한데 .. 더보기
<심리학 2> 죽음으로부터 나를 구해 준 2가지 나는 20대 초반, 취직을 하면서 늘 자살하고 싶었다. 이건 내가 알던 세상과 너무 다르고, 너무 힘이 들고, 나의 노력으로는 도저히 살아갈 수 없었다. 나는 일을 잘 하고 싶었으나 잘하기도 힘들었고 밤에는 잠을 제대로 잘 수 없을만큼 죄책감과 악몽에 시달렸다. 그때는 다이어트라는 호.. 더보기
<위플래쉬>, 완벽주의는 나쁜가 좋은가? 나의 욕구는 진정 나의 욕구인가? (스포 포함) &lt;위플래쉬&gt;, 또다른 깨달음을 주는 작품이다. 이미 앞에서 나는 완벽주의적 사고를 양육받은 사람의 위험성에 대해 얘기한 바 있다. 그리하여 그러한 사고를 경계하라는 [절망이 아닌 선택]이라는 책을 추천한 바가 있었다. 그리하여 뱀의 머리냐 용의 꼬리냐 둘 중 하나만 선택하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