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욕에 관해 얘기하자면, 본능적인 생리적 성욕과 사회적 성욕으로 나뉘는 거 같다. (사회적 성욕이란 게 있다면 말이다.)
1. 생리적 성욕
한마디로 본능에 의거한 성욕을 말한다. 이 성욕은 생물학적인 것으로 차이에 해당한다.
자연스런 성욕은 주로 배란기(번식기)에 강해진다. 남녀 모두 동일하다!
그 외 성욕은 대상이 있고 사용할수록 지속적으로 생기며,,
그렇지 않다면, 딱히 할 일이 없거나 포르노 보면서 자꾸 뇌를 자극하여 생기게 된다!
이건 자연스런 성욕 아닌, 인위적 성욕이다~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니까,,, 자꾸 생각해서 생긴다~!!!!!!
자연스런, 생리적인 성욕은 동물과 비교적 흡사한 것으로 종족번식을 위해 발생하는 성욕이다.
따라서 여성은 배란기에 강한 성욕을 느끼지만, 대체로 월경(=생리)를 통해 그 욕구가 해소된다.
남성은? 남자가 아니라서 잘 모르겠지만, 월경을 하지 않기에 지속적으로 성욕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지며,
정액을 배설해야 사라지지 않을까 짐작된다. 그러나 동물들도 주로 번식기에 성욕을 느끼는 것으로 보아 남성도 그러한 시기가 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남자가 아니니까 잘 모르겠다.
남성과 여성의 해부학적 차이를 염두에 둘 때, 본능만 딱 두고 본다면, 여성은 수동적, 남성은 능동적으로 볼 수도 있다.
주로 이 생리적 성욕은 본능에 기인한 진화 이전의 동물적 성욕으로 여기서 남성과 여성은 성욕은 '차이'가 날 수도 있겠다.
겪어보니, 성본능 차이가 아니라,, 성욕이 강해지는 시기별 차이다!
남녀 성욕은 테스토스테론이 관장하므로, 남녀 모두 이 호르몬 양이 많아질 때, 사랑에 대한 욕구가 강해진다! (여성에게도 남성 호르몬이 있다.)
성에 대해 연구한 킨제이 등의 학자들은 비교적 이 생리적 성욕만을 분석하고 집착하여 연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2. 사회적 성욕
동물과 다른 인간의 성... 이것은 뇌에서 명령을 내린다.
'(성)교육과 심리학, 철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의 시민 운동, 뭐가 문제인가? (0) | 2016.03.15 |
---|---|
<성교육5> 잘못된 여성, 남성 신화 (0) | 2016.03.15 |
<성교육 3 > 실제적 성교육 동영상 유투브 주소> (0) | 2016.03.14 |
<성교육2 > 성폭력과 성매매 (0) | 2016.03.09 |
<심리학 1> 인본주의 심리학 (퍼옴) (0) | 2016.03.06 |